Collects/WindowsServer 3

DAS, NAS, SAN 개념정리

출처 : http://imgun.com/bbs/tb.php/study_etc/1 DAS [Direct Attached Storage]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한 외장형 저장 장치. 서버/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부족한 저장 공간을 가장 쉽게 확보하는 방법으로 서버 자체에 물리적으로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다.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서버에 외부 저장 장치를 추가함으로서 필요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접근할 수 있고 확장이 용이하다. 하지만 데이터의 증가에 따른 외부 저장 장치의 계속적인 추가는 서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. 또 다른 문제는 네트워크상의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에는 중지된 서버에 장착된 저장 장치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같은 취약점이 있다. NAS..

Active Directory

1. 액티브 디렉토리(Active Directory)    액티브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기본으로 Sun사의 솔라리스, HP사의 HP-UX등   고급 유닉스 계열과 리눅스, 노벨사의 넷웨어등에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 여기서는   Microsoft방식으로 디렉토리를 관리하는 방법을 말한다.    1-1. 디렉토리 서비스    디렉토리 서비스는 여러 가지 필요한 정보의 모음집 정의할 수 있으며,   여기서 디렉토리는 사용자, 그룹, 폴더, 퍼미션,    컴퓨터, 네트워크, 문서, 프린터, 파일등 모든 컴퓨팅 환경에서의 자원을 의미한다.   따라서 디렉토리 서비스는 이와 같은   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.    이러한 디렉토리 서비스는 그룹과 사용자, 웹..

Windows Server 2003 엑티브 디렉토리 구성

1. 도메인 트리의 구조 계획    액티브 디렉터리를 설치하는 작업은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것 보다 더 중요하고   복잡한 작업이다. 따라서 액티브 디렉토리는 한번 설치하면   도메인 트리의 구조를 변경하기 어렵고,   연결된 도메인 컨트롤러 또한 함부로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.   따라서 액티브 디렉터리를 설치하기 전에 반드시 계획하고 구상해두어야 한다.    1-1. 다중 도메인 컨트롤러    액티브 디렉터리를 구성한 경우 운영체제 백업은 필수이고,   도메인 컨트롤러가 다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.   만일에 한 대의 서버밖에 없는데 도메인 컨트롤러에 문제가 생겨 직원들이   서버에 접속할 수 없다면, 기업에 커다란 손실을 가져다 줄 수 있다.   따라서 액티브 디렉터리를 설치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