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전확인[편집]
현재 호스트명을 확인해보자.
[root@localhost ~]# hostname
localhost.localdomain
- 레드햇 계열
[root@localhost ~]# cat /etc/sysconfig/network | grep HOSTNAME
HOSTNAME=localhost.localdomain
- Ubuntu
root@localhost:~# cat /etc/hostname
localhost
방법 1: 명령어로 변경[편집]
즉시 변경[편집]
다음 중 두가지 명령어 중 하나를 실행하면 된다.
hostname 호스트명
echo 호스트명 > /proc/sys/kernel/hostname
- 새로 로그인할 때는 이것이 적용된다.
- 재부팅시에는 초기화될 것이다.[1]
- 실행 예시
[root@localhost ~]# hostname zetawiki
[root@localhost ~]# hostname
zetawiki
[root@localhost ~]# su -
[root@zetawiki ~]#
재부팅시 변경[편집]
- 레드햇 계열
/etc/sysconfig/network 문서를 참고하십시오.
vi /etc/sysconfig/network
파일 내용 중 HOSTNAME 부분을 수정한다.
HOSTNAME=호스트명
- 우분투
/etc/hostnam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.
vi /etc/hostname
파일 내용 전체가 호스트명이다. 원하는 호스트명으로 수정하자.
방법 2: setup으로 변경[편집]
- 레드햇 계열만 가능
- setup으로 바꾸면 방법 1에서 말하는 영구적용과 즉시적용이 동시에 된다.[2]
setup
- [Network configuration] --- [DNS configuration]
- "DNS configuration" --- Hostname: 원하는호스트명 --- [Ok]
- [Save&Quit]
- [Quit]
방법 3: 한방 스크립트 ★★[편집]
- 재부팅 없이 적용 및 확인을 한번에 할 수 있음
- 레드햇 계열, 우분투 모두 사용가능 ★★
NEW_HOSTNAME=새호스트명
OLD_HOSTNAME=$HOSTNAME
HOSTNAME=$NEW_HOSTNAME
hostname $HOSTNAME
sed -i "s/$OLD_HOSTNAME/$HOSTNAME/" /etc/hostname 2> /dev/null
sed -i "s/HOSTNAME=$OLD_HOSTNAME/HOSTNAME=$HOSTNAME/" /etc/sysconfig/network 2> /dev/null
echo "\$HOSTNAME=$HOSTNAME"
grep -Hn '' /proc/sys/kernel/hostname
grep -Hn '' /etc/hostname 2> /dev/null
grep -Hn '' /etc/sysconfig/network 2> /dev/null
- → 프롬프트에 찍히는 호스트명까지 변경되는 것을 확인하려면 새 콘솔(또는 SSH 세션)을 열어야 한다.
- → /etc/hosts 파일 변경은, 다른 서버의 주소까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포함하지 않았다. 직접 수정해주자.[3]
(권장) 후속작업: /etc/hosts 변경[편집]
/etc/host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.
/etc/hosts는 IP에 대한 호스트명 정보가 있는데,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정보도 들어가 있다. 호스트명을 변경했다면 이쪽도 수정해주는 것이 좋다.[3]
vi /etc/hosts
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한다.
127.0.0.1 localhost zetawiki
::1 localhost zetawiki
- → 1행은 IPv4, 2행은 IPv6에 대한 것임
- (필요시) 점검항목: sendmail 테스트, 오라클DB 접속 테스트
'Collects > Linux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apache-tomcat 설치하기 (0) | 2016.11.17 |
---|---|
Rsync, SSH, Crone 를 이용한 Linux 동기화 백업 구축 (2) | 2009.07.03 |
Apache-2.x.x 에 SSL 인증서 설치(https 구축) (1) | 2008.12.10 |
SSH Client Key 를 이용하여 각 서버에 인증없이 ssh 접속하기 (0) | 2008.11.28 |
HOW-TO Configuration proftpd.conf (0) | 2008.11.26 |